전형결과확인
평생교육사 현장실습


부모리더십센터
인문교육원
차세대리더십센터
학교리더십센터
시민리더십센터
학교안전센터
도서관친구
평생교육원
아버지다움연구소


맨위로



글 수 98
조회 수 : 2332
2011.09.15 (14:40:06)
사용자 평가: 
 
(0.0/0)
제작: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요약:  건강한 부모역할은 부부간 역할 공유에서 / 함인희

1. 변화하는 사회, 가족의 적응
2. 가족 신화로부터의 탈출
3. 농축된 사회변동과 가족주기의 변화
(1) 가족주기란?
(2)가족주기의 변화 양상
4. 가족기능의 변화 :
전통적, 현대적 요소의 혼재
5. 변화하는 가족, 건강한 부모역할
(1) 제도 가족으로부터 우애 가족을 향해
(2) 맞벌이 부부의 역할 긴장
(3) 건강한 부부역할
6. 가족의 미래
다양한 新가족(new families)의 출현 

1. 변화하는 사회, 가족의 적응

최근 우리 가족의 변화가 눈부실 만큼 현란하다. 매우 솔직하게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음도 인상적이다. 임상수 감독의 영화 [바람난 가족]만 해도 배우자의 외도, 혼전 및 혼외 임신은 물론이요, 입양, 노년의 성과 사랑, 그리고 아버지의 죽음을 바라보는 가족의 차가운 시선까지 이제껏 가족을 향해 품어온 환상과 신화를 여지없이 무너뜨리고 있다. 그런가 하면 홍승우의 만화 [비빔툰]에선 결혼 전 품었던 기대와 꿈이 얼마나 실현 불가능한 몽상이었는지, 게다가 35살 두 아이를 키우며 살아간다는 건 실상 전쟁이라 불러 과히 지나치지 않음을, 따뜻한 시선을 잃지 않은 채 손에 잡힐 듯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가족의 변화를 지켜본 학자들은 거의 예외 없이 가족의 적응력에 경탄을 보내고 있다. 가족은 변화가 요구되는 계기마다 생존을 최우선 목표로 하여, 변화의 요구를 스펀지처럼흡수함으로써 사회적 도전에 유연하게 대처해왔다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어온 것은 아니다.

사회가 급격한 변동을 겪는 시기일수록 가족의 변화에 대한 저항이 증가해온 것 또한 사실이다. 곧 사회적 통합 기반이 흔들린다고 생각될수록 사회적 결속과 통합의 주체는 가족 밖에 없다는 전통 회귀적 의식이 사회를 지배하게 된다.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해온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변화를 바라보는 시각에는 이러한 정서가 잘 표출되고 있다. 실제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공적영역에서 진행된 변화에 대해서는 전근대로부터 근대로 진보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내리는 반면, 가족영역의 변화 곧 이혼율 증가출산율 감소한부모, 동거, 독신, 노인단독 가구 등 다양한 가족형태의 출현에 대해서는 가족해체 및 사회적 통합의 저해라 간주하는 위기의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족의 변화를 둘러싼 위기의식은 가족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 사이에 나타나는 일종의 지체(lag) 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는 두 차원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바, 하나는 가족의 변화가 진행되는 시기와 구성원들이 변화를 인지하는 시기간의 괴리이다. 곧 가족성원들이 가족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로 인한 긴장과 갈등 폐해 등을 문제로 인식할 때는 이미 가족은 사회변화의 와중에서 변화를 경험한 이후라는 것이다. 오늘날 주요한 정치적 쟁점으로 등장하고 있는 가족문제들, 이를테면 기혼 취업여성의 출산 및 양육 부담, 노인부양 문제, 가족폭력, 낙태, 빈곤의 여성화 등은 모두 이 범주에 속한다.

또 다른 차원은 가족의 변화속도와 사회의 변화속도 간에 나타나는 지체현상이다. 여기에는 가족이 사회변화에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가족지체와 역으로 사회가 가족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는데서 나타나는 사회지체가 포함된다. 가족지체의 예로는 여성의 취업율이 충분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통적인 성역할 이데올로기에 입각하여 가족 내 역할 분업이 이루어짐을 들 수 있고, 사회지체의 예로는 현재의 가족 재원만으로는 노인부양을 책임지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회는 여전히 전통적인 효 관념에 입각하여 핵가족 책임론을 고수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확실히 가족의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작업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가족은 같은 사회 안에서도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 지역적 특성, 종교적 배경 등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게 마련이며, 같은 가족 성원들이라 해도 성과 연령 혹은 가족주기 등에 따라 가족 경험에는 다양한 차이가 나타나게 마련이다.

나아가 일상적 삶을 구성하는 가족은 우리에게 매우 친근하고 익숙한 대상이다. 단 가족의 친근성 및 일상성은 우리들로 하여금 가족을 객관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어렵게 함으로써 연구자의 개별적 경험이 편견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우리들로 하여금 가족을 필연적인 것,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경향을 만들어낸다.

이 글에서는 먼저 우리의 가족 관념 속에 자리하고 있는 다양한 신화를 들추어내보고, 뒤를 이어 지난 40여 년에 걸친 한국사회의 농축된 변화과정에서 나타난 바, 가족주기(family cycle)의 획기적 전환 과정에 반영되고 있는 가족의 변화 양상을 다각도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가족 기능상의 변화 과정에 혼재하고 있는 정통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를 탐색해 본 연후에, 가족 성원들의 역할 가운데 특별히 부모역할은 어떻게 자리매김 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신()가족의 출현에 담긴 의미를 조망해보기로 한다.    

Tag List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